본문 바로가기

TIL | TWIL

(4)
서브도메인 vs 서브 디렉터리 차이 | 내 사이트엔 어떤 것을 적용할까? 새로 구현하고 싶은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아예 새로운 도메인을 생성해서 배포할지, 내가 가지고 있는 사이트에 해당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갈지 등등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것을 적용하면 좋을지 알아보려고 합니다.개념 및 구조서브디렉터리(Subdirectory, 서브폴더)메인 도메인 내의 하위 폴더로, 같은 사이트 내에서 콘텐츠를 분류하는 구조입니다.예시: map.naver.com/bus, cafe.naver.com/[카페이름]메인 도메인의 일부로 간주되어 동일한 권위와 신뢰도를 공유합니다.서브도메인(Subdomain)메인 도메인 앞에 별도의 이름을 붙여 독립적인 영역처럼 운영하는 구조입니다.예시: map.naver.com, cafe.naver.com메인 도메인과는 별도의 사..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와 서버 컴포넌트(그리고 use client) 오랜만에 Next.js 기반으로 개발을 해보려고 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아뿔싸! 내가 개발을 하지 않던 사이에 서버 컴포넌트가 세상을 점령했던 것이다.기본적으로는 서버 컴포넌트라고 보면 된다.이번 글에서는 'use client'가 뭔지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볼 예정이다. use Client란?use Client란, 해당 컴포넌트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Client Component)임을 나타내는 지시어(directive)이다.클라이언트 컴포넌트란, 클라이언트에서 렌더링 되는 렌더 트리의 컴포넌트다.=>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컴포넌트라는 뜻이다.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Q.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어떤 것을 의미할까?- useState, useEffect, useCo..
Next.js의 Middleware가 뭘까? 💡 Middleware allows you to run code before a request is completed. Then, based on the incoming request, you can modify the response by rewriting, redirecting, modifying the request or response headers, or responding directly. (출처: next 공식 문서) 즉, 미들웨어란 요청이 완료되기 전에 실행되는 코드. 다음 요청에 따라 요청 or 응답 헤더도 수정이나 응답 수정이 가능합니다. NextReseponse API를 통해 할 수 있는 작업들 redirect/rewrite 작업 redirect: 다른 url로 이동 rewrite: ..
dangerouslySetInnerHTML 쓸 때 Styled-components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 DOM에 직접 HTML tag를 넣는 일은 지양하려고 하지만, 때때로 작업이 필요할 때가 있다. 리액트에서는 dangerouslySetInnerHTML을 사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해당 케이스에서 특수한 스타일을 추가해야 해다. className을 정하고 짜잔.. 실행을 했을 때는요? 화면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https://github.com/styled-components/styled-components/issues/3347 How styled-components interact with inline styles created by dangerouslySetInnerHTML? · Issue #3347 · styled-components/styled It's a qu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