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TWIL

서브도메인 vs 서브 디렉터리 차이 | 내 사이트엔 어떤 것을 적용할까?

꾸씅 2025. 4. 26. 21:41

새로 구현하고 싶은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아예 새로운 도메인을 생성해서 배포할지, 내가 가지고 있는 사이트에 해당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갈지 등등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것을 적용하면 좋을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념 및 구조

  • 서브디렉터리(Subdirectory, 서브폴더)
    • 메인 도메인 내의 하위 폴더로, 같은 사이트 내에서 콘텐츠를 분류하는 구조입니다.
    • 예시: map.naver.com/bus, cafe.naver.com/[카페이름]
    • 메인 도메인의 일부로 간주되어 동일한 권위와 신뢰도를 공유합니다.
  • 서브도메인(Subdomain)
    • 메인 도메인 앞에 별도의 이름을 붙여 독립적인 영역처럼 운영하는 구조입니다.
    • 예시: map.naver.comcafe.naver.com
    • 메인 도메인과는 별도의 사이트로 인식되어 독립적으로 관리됩니다.

주요 비교

URL 구조 서브디렉터리 서브도메인

SEO 영향 메인 도메인과 권위 공유 별도 사이트로 인식, 권위 분리
관리 통합 관리, 유지보수 용이 독립 관리, 별도 유지보수 필요
기술적 설정 DNS 설정 불필요 DNS 설정 필요
호스팅 메인 사이트와 동일 서버 별도 서버 가능
비용 추가 비용 거의 없음 별도 호스팅/SSL로 비용 발생 가능
콘텐츠 구분 카테고리 분류에 적합 완전히 다른 서비스/브랜드에 적합
사용자 경험 일관된 디자인, 쉬운 탐색 독립적 경험, 전문성 강화

SEO 관점의 차이

  • 서브디렉터리
    • 메인 도메인의 SEO 점수(권위, 신뢰도)를 그대로 상속받아 신규 콘텐츠도 빠르게 상위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좋은 콘텐츠가 쌓이면 메인 도메인 전체의 SEO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도 사이트 내 연속적인 탐색이 가능해 이탈률이 낮아집니다.
  • 서브도메인
    • 구글 등 검색엔진은 서브도메인을 별도의 사이트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 메인 도메인의 SEO 권위가 자동으로 이전되지 않습니다.
    • 각 서브도메인별로 독립적인 SEO 전략이 필요하며, 새로운 브랜드나 완전히 다른 주제(예: 언어별, 서비스별)에서 전문성을 쌓는 데 유리합니다.
    • 대규모 서비스 확장, 별도의 보안 요구, 국가/언어별 사이트 분리 등에도 적합합니다.

장단점 요약

서브디렉터리 장점

  • 메인 도메인과 SEO 권위 공유
  • 유지보수 간편, 비용 절감
  • 사용자 경험 연속성

서브디렉터리 단점

  • 완전히 다른 주제 확장에는 한계
  • 구조 변경 시 전체 사이트에 영향 가능

서브도메인 장점

  • 독립적 운영 및 관리 가능
  • 완전히 다른 서비스/브랜드에 적합
  • 국가/언어별, 보안 요구 분리 등 유연성

서브도메인 단점

  • SEO 권위가 분리되어 초기 노출 어려움
  • 별도 관리 및 추가 비용 발생 가능

선택 기준

  • 서브디렉터리 추천 상황
    • 기존 비즈니스와 유사하거나 밀접한 서비스 확장
    • 메인 도메인의 SEO 권위를 활용하고 싶을 때
    • 사용자 경험의 연속성이 중요할 때
  • 서브도메인 추천 상황
    • 완전히 독립적인 서비스/브랜드 운영
    • 국가별, 언어별, 타겟별로 사이트 분리 필요
    • 기술적, 보안적 분리가 필요할 때

결론적으로, SEO와 브랜드 일관성,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중요하다면 서브디렉터리 방식을, 독립적 서비스, 전문성 강화, 별도 운영이 필요하다면 서브도메인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원래 아예 다른 성질의 사이트여서, 서브 디렉터리로 구현하려고 했었는데, SEO도 아예 다르게 동작한다고 하니까 고민이 생겼습니다. 결국에는 아예 다른 도메인을 선택할 거 같습니다. 해당 서비스에 맞는 도메인의 이름을 고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원하시는 사이트의 성격에 맞춰 좋은 결정 하시길 권해드립니다!